print = 출력만 함.
println = 출력 후 라인을 변경함.
변수 -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(하나의 값만 저장가능)
변수선언방법 - 변수타입 변수이름;
char - 문자
byte , short , int , long - 정수
float , double - 실수
boolean - 논리(true, false 만 입력가능)
변수 - 하나의값을 저장 ( 변경 가능 )
상수 - 한 번만 값 저장이 가능 ( 변경 불가 ) - 상수의 저장은 변수 앞에 final 입력 ex)final int age
리터럴 - 자체의 값만 의미하는것 ( 입력되는 정확한 값 )
논리형 - 그대로 입력 가능
논리형 boolean f = true;
정수형 - 접미사를 입력해야함 (Long,int 등)
byte q = 127; / int 타입 가능
byte q = 128; / 에러 byte 타입은 -128~127까지만 사용가능
int a = 100; / 10진수
int b = 0100; / 접두사 0 이 붙으면 8진수
int c = 0x100; / 접두사 0x 가 붙으면 16진수
plant 명령어는 10진수만 출력가능, 진수를 출력하기위해서는 plantf 로 출력
실수형 - 접미사를 입력해야함 (float,double)
float f = 3.14f; / f 생략 불가능 생략시 double타입이 되서 에러 발생
double d = 3.14d; / d 생략가능
문자형 - ' ' 감싸줘야함
문자형 char ch = 'A';
문자열 - " " 감싸줘야함
문자열 String str = "ABC";
입력값보다 변수타입이 더 크다면 숫자열에 문자도 입력이 가능
ex) int abc = 'A'; / 입력가능, int 정수엔 A에 대한 코드값 65가 입력됌
문자 저장시
char a = 'a'; 하나의 문자만 가능
char a = 'ab'; - 문자열은 에러가 남
문자열 저장시
String s = "ABC"; - 변수의 타입은 반드시 String
String s = '"; - 빈문자열 비어있어도 사용이 가능함.
String s1 = "A"+"B"; // "AB"
String S1 = "" + 7 -> "" + "7" -> "7" / 숫자는 자동으로 문자열로 변경이되어 합쳐짐
""+7+7 -> "7"+7 -> "7"+"7" -> "77"
7+7+"" -> 14+"" -> "14"+"" -> "14"
문자열 합산시 숫자 계산처럼 왼쪽의 결합부터 진행됨
'혼자해보는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6. 변수 바꾸기] (0) | 2022.03.10 |
---|---|
[5. 변수의 크기 및 사용가능한 역량 확인] (0) | 2022.03.10 |
[3. 이클립스에서의 단축키] (0) | 2022.03.09 |
[2. Hello, world] (0) | 2022.03.08 |
[1. 자바 및 이클립스 다운받기] (0) | 2022.03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