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혼자해보는 공부

[5. 변수의 크기 및 사용가능한 역량 확인]

728x90


변수의 참조형

- 기본형 8개를 제외한 나머지 (String, System 등)

- 메모리 주소를 저장(4 byte 또는 8 byte)

 

  1byte 2byte 3byte 4byte
논리형 boolean      
문자형   char    
정수형 byte short int long
실수형     float double

 


1byte = 1bit 8개

1bit 표현가능 개수 - 0 과 1
2bit 표현가능 개수 - 00, 01, 10, 11 // 4개 즉 2의 2승

n비트로 표현할 수 있는 값의 개수는 2의 n승개 이다.[정보처리시험에 항상 나왔던거같아요]
n비트로 표현할 수 있는 부호없는 정수의 범위 0~2의 n승 -1이 됌 // 8비트기준 1~256이아닌 0~255까지 가능
n비트로 표현할 수 있는 부호있는 정수의 범위는 -2의 n-1승 ~ 2의 n-1승 -1이 됌 // 8비트기준 -128~127 까지 표현 가능
부호의 유무에 따라 표현할 수 있는 값이 달라지기에 기억해야함

정수의 표현에는 첫번째칸에 부호비트가 있음. // 0일시 양수, 1일시 음수. 양수인 경우 -1을 해야함. 음수의경우 -1부터 시작

728x90

'혼자해보는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7. printf() 사용법]  (0) 2022.03.11
[6. 변수 바꾸기]  (0) 2022.03.10
[4. 변수에 대한 이해]  (0) 2022.03.09
[3. 이클립스에서의 단축키]  (0) 2022.03.09
[2. Hello, world]  (0) 2022.03.08
댓글